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 modelmapper
- OS
- 직장인 회고
- Test Doulbe
- 소프티어
- Test code
- ExceptionResolver
- FCM
- 자바
- 테크쇼
- softeer
- Junit 5
- Coputer Science
- Java
- MySQL
- Service 계층 테스트
- 인프콘2023
- JPA
- db
- Test
- Spring
- 일상
- enumSet
- 갓생
- proxyFactory
- Server
- 공룡책
- 2025 계획
- mapstruct
- 2024회고
- Today
- Total
목록Server/Java (13)
공부내용공유
![](http://i1.daumcdn.net/thumb/C150x150/?fname=https://blog.kakaocdn.net/dn/qWDsW/btspMkGU99g/zMCIe0sBvTlKFfirmSPAwK/img.png)
서론 자바로 알고리즘 문제를 풀면서 Integer , String 을 HashMap 자료구조를 사용하여 해결해야 하는 문제를 풀고 있었다. 이때 디버깅 및 간단한 실험을 위해 Integer 끼리 동등 연산자를 사용하여 비교하는 코드를 돌렸다. 내가 공부했던 wrapper class 는 Inerger a = 100 은 new Integer(100); Integer b = 100 또한 new Inteher(100); 이므로 a==b 는 false 가 나올거라 생각했는데 True 가 나왔다. 왜 그럴까를 찾아보고 알게된 사실을 정리하였다. 본론 Integer class 를 스르륵 훓어 봤는데 수상한걸 발견했다. 해당 부분의 코드를 보고 검색을 해본 결과. Integer class 는 -128 부터 128 까지..
![](http://i1.daumcdn.net/thumb/C150x150/?fname=https://blog.kakaocdn.net/dn/c8XlMt/btsnwm1lahX/GSKNDweP9PCclQ2scYMNF1/img.jpg)
서론 Deque를 사용하면서 아무생각 없이 ArrayDeque를 사용하고 있었는데 다른 코드에서 LinkedList 로 Deque를 구현한것을 보았고 또 Deque 구현체가 꽤 많은것을 알게되었다. Deque 구현체들에 대해 간단히 조사하고 정리하고, ArrayDeque와 LinkedListDeque 사이에 차이가 있고 무엇이 더 효율적일지 찾아보면서 이 글을 작성하게 되었다. 본론 Deque 란? 간단하게 Deque에 대해 설명하자면 원소의 추가와 삭제를 양쪽 끝부분에서 지원하는 자료구조이다. Deque는 사용자가 입구로만 나오고 삭제하게 하면 stack으로 입구로만 들어가고 출구로만 나오면 queue 로 사용할 수 있다. Java 에서 Deque 자바에서 Deque는 인터페이스로 되어져 있고 이를 구..
![](http://i1.daumcdn.net/thumb/C150x150/?fname=https://blog.kakaocdn.net/dn/bRjRHG/btslEW98Rha/K9dVTGFpThPZq41IK3L0jK/img.png)
서론 지금까지 알고리즘 문제를 python으로만 해서 문제를 풀 때 자료형에 관해서 크게 고민을 하면서 푼적이 없었다. 요즘 자바로도 코딩 테스트 연습을 하고 있는데 array 와 list 를 언제 쓰고 어떻게 쓰는지에 대해 이해도가 부족함을 느껴 정리하고자 이 글을 작성하였다. 목차 Array 란 List 란 장,단점 활용법 본론 Array 란? 여러 데이터들이 index (식별자) 와 값으로 구성된 자료구조 index 는 유일한 식별자이다. 논리적 저장 순서와 물리적 저장 순서가 동일하다 index를 통한 접근이 O(1) 이다. 캐시 hit 가 일어나기 좋다 초기에 크기를 정하고 , 컴파일 이후 크기 변경이 불가능 하다. 연속된 메모리 공간으로 이루어져 있다. List 란? 순서가 있는 엘리먼트의 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