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 Test code
- 갓생
- proxyFactory
- 2025 계획
- softeer
- 소프티어
- Test Doulbe
- 자바
- MySQL
- 테크쇼
- 직장인 회고
- Coputer Science
- mapstruct
- 2024회고
- 공룡책
- ExceptionResolver
- OS
- Junit 5
- db
- JPA
- modelmapper
- Spring
- enumSet
- 일상
- Service 계층 테스트
- 인프콘2023
- Server
- Test
- Java
- FCM
- Today
- Total
목록Server/Java (13)
공부내용공유
![](http://i1.daumcdn.net/thumb/C150x150/?fname=https://blog.kakaocdn.net/dn/dhCNvB/btsJmNXsDSH/j6qv8jmOzowOH5igTYAkM0/img.png)
서론 현재 진행중인 이펙티브 자바 스터디에서 예외 처리에 관련한 파트를 공부하게 되었다, 스터디를 준비하기위해 여러 예외, 예외 처리 관련한 글을 찾아보고 또 개발을 하면서 경험한 내용들을 정리하고자 이 글을 작성하였다. 본론 해당 글의 목차는예외 처리의 중요성커스텀 예외에 관하여계층별 예외의 분리으로 구성될 예정이다. 예외 처리의 중요성 프로그램을 만들다 보면 시스템 내부, 사용자의 잘못된 요청, 기능상으로 프로그램의 정상적인 흐름을 멈춰야 할 때가 있다, 이 중에는 코드상으로는 고칠 수 없는 케이스(java 에서는 error로 분류되는)와 코드상으로 재시도를 하거나 어떠한 처리를 하고 다시 이전의 흐름으로 돌리는 케이스 등이 있다. 이 정상적인 흐름을 멈추고 처리하는데 있어서는 여러가지 방법이..
서론 아주 예전에 자바 공부를 할 때 'inner 클래스는 비정적으로 사용하면 메모리 누수가 일어나니 조심하자' 라는 내용의 블로그 글을 본적이 있었고 어렴풋하게 내 머리에 남아있었다. 그러던 도중 이펙티브 자바 item 24. 멤버 클래스는 되도록 static으로 만들어라 라는 주제에 대해 스터디를 하면서 비정적 멤버 클래스(non-static) , 정적 멤버 클래스(static)의 차이와 어떤 때 사용하게 되는지 알게 되었고 해당 글에서 간단히 정리할 예정이다. 본론이 글은 자바의 멤버 클래스 (inner class)와 static에 대한 기본적인 이해가 있다는 가정하에 작성되어졌다. 목차는비정적 멤버 클래스를 사용했을 때 생길 수 있는 문제점HashMap은 이걸 사용한다.문제가 있을 수 있나?로 ..
![](http://i1.daumcdn.net/thumb/C150x150/?fname=https://blog.kakaocdn.net/dn/bIWIw4/btsIrak4pDt/0o9bY7WmiLzxMNkJbqDkFk/img.png)
서론 이펙티브 자바 스터디에서 item 23 태그달린 클래스보다는 클래스 계층 구조를 활용해라라는 주제에 대해 팀원들과 얘기를 나누고 얼마 지나지 않아 오브젝트라는 도서에서 비슷한 주제를 보게 되었다. 이번 글에서는 두 책에서 다루는 클래스 계층 구조 (상속) 과 태그 달린 클래스 방식의 장,단점을 정리할 예정이다. 본론이 글의 목차는태그 달린 클래스계층 구조를 활용한 클래스어떤게 더 좋을까로 이루어져있다. 태그 달린 클래스 태그 달린 클래스란 무엇일까? 코드로 예시를 보면 빠르게 이해가 가능할 것이다.public class User { long id; String name; long level; Address address; UserType userType;}public ..
서론 어떤 기능을 구현하면서 글자 수가 제한되어 있는 중복되면 안되는 랜덤 문자열을 만들어야했다, 글자 수가 제한이 안되어 있다면 uuid, hash 등 다양한 방식을 편하게 사용할 수 있었지만 그렇지 못했기에 이것 저것 찾아보았다. 이번 글에서는 찾아보면서 알게된 랜덤 값을 만드는 클래스, 클래스들의 특징등을 정리할 예정이다. 본론 해당 글은 자바에 구현되어져있는 클래스와 라이브러리를 다룬다. 다른 언어를 사용하는 사람들에게는 큰 도움이 되지 않을 것 같다.글의 목차는랜덤하고 유니크한데 길지는 않은 쌈@뽕한 문자열RandomApache Common (RandomString, RandomUtil ...)Secure Random이렇게 구성될 예정이다. 1. 랜덤하고 유니크한데 길지는 않은 쌈@뽕한 ..
서론 계층형 아키텍쳐이든 클린 아키텍쳐를 지향하는 어떠한 아키텍쳐이든 보통 패키지를 도메인 별로 분리하는 경우를 많이 보았고, 현재 진행중인 프로젝트도 도메인 별로 패키지가 나눠져 있는 형태이다. 다른 레이어에서의 구현에서는 큰 문제가 없었으나 도메인 레이어를 구현할 때 참 많이 고민된 부분이 있다, 이전 글에서 언급했듯이 value object를 적극적으로 활용하여 코드를 작성중인데 "value object들의 접근 제어자를 어떻게 설정할 것인가" 이다. (이번 글도 정답이 없는 문제를 제 고민과 주변에서의 조언을 글로 정리한 것으로 반박, 의견 제시 해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본론 domain 별로 나눴을 때의 장점public 장점package private의 장점본론은 위 항목으로 구성되어..
서론 value object 여러가지 장점이 있고 이를 잘 활용하면 응집도 높고 DRY한 코드를 작성할 수 있다. 그래서 나도 여러군데서 열심히 사용하려고 노력하였고 이 과정에서 여러 애매한 상황들을 많이 만났다, 오늘 글에서는 value object의 null 처리에 관해서 다룰 예정이다. (지극히 개인적인 경험과 자료를 찾아보면서 제 생각등을 정리한 글이니 참고만 하고 반박 의견이 있다면 공유해주세요.) 본론 목차는value object의 nullObjectValue vs Nullable상황에 맞게?으로 구성될 예정이다. Value Object의 null 객체지향적인 코드를 지향하면서 클래스를 만들고 사용하다보면 value object를 자주 사용하게 된다. 관련된 값들, 로직들을 모음으로 ..
서론 테스트 코드를 작성하다 보면 특정 기능을 테스트 하기 위해 그를 위한 여러 객체들을 만들어야 한다, (entity, vo, req...) 그리고 이러한 객체들 중에는 값들을 굉장히 많이 가지고 있거나 반복적으로 사용되는 것들도 있을 것이다. 이러한 테스트 비즈니스 로직과는 상관없는 부분의 노출을 최소화 하고자 TestFixture를 많이들 사용하고 있을거고 나도 잘 사용중이다, 다만 TestFixture들의 위치를 별 생각없이 두고 있었는데 위치에 관련해서 사수님이 의견을 남겨주셔서 해당 내용에 관해 정리할 예정이다. 본론 목차는TestFixture에 관한 간단한 설명TestFixture 위치의 문제TestFixture 위치 문제 해결문제 해결을 하면서 상기한 자바의 기초 내용으로 구성될..
서론 프로젝트를 진행하다보면 null을 핸들링 해야하는 다양한 상황을 만난다. 오늘도 null 처리를 어디서, 어떻게, 어디까지 해줄까를 고민하고 팀원 분과 얘기를 하고 있었는데 kotlin의 문법을 null 처리 관련한 연산자를 알려주셨다. 코틀린을 사용해본 적이 없어서 이번 기회에 코틀린에서 지원해주는 null 핸들링 도구가 무엇이고 어떤 장점이 있는지와 내가 고민했던 java에서 null 처리 방법을 정리할 예정이다. 본론 적어도 null 처리 관점에서 가장 이상적인 객체의 설계는 nullable 한 필드가 없게하여 객체를 사용할 때NullPointerException을 피하는 설계라고 생각한다. 하지만 개발을 하다보면 Nullable한 값을 선언하고 (객체의 필드이든 메서드의 파라미터이든) 이를 ..
서론 공부를 하다가 평소에는 딱히 생각 없이 사용하던 HashMap에 일반적인 put, remove와 같은 메서드 뿐만이 아니라 훨씬 더 많은 메서드가 있고 내부적으로 복잡하게 동작하는 클래스라는 것을 알게 되었다. java 8 이후로 (java 8 이전 HashMap도 공부할 것이 많긴 하지만) 구현된 HashMap 클래스에 있는 중요한 내용들을 분석하고 정리하였다. 본론 Node HashMap class 를 열었을 때 가장 먼저 Node 라는 클래스를 볼 수 있다. static class Node implements Map.Entry { final int hash; final K key; V value; Node next; Node(int hash, K key, V value, Node next) {..
서론 프로젝트를 진행하다 보면 Enum은 한번쯤은 꼭 사용하게 되는 타입이다. 맨 처음 프로젝트에서 Enum을 사용할 때는 단순히 열거를 위해서만 사용하고 타입 안정성을 위해서 사용하는구나 하고 넘어갔었는데 다른 프로젝트를 진행하면서 받은 리뷰를 통해 Enum의 다양한 활용법, Enum을 위한 특별한 (java의) 자료구조등을 알게되었다. 이번 글에서는 Enum에 대한 설명보다는 Enum을 어떤식으로 활용할 수 있는지, Enum을 사용할 때 알고있으면 좋은 자료구조에 대해 주로 다룰 예정이다. 본론 Enum 기본 활용 일단 가장 기본적인 Enum 사용법을 보자 public enum Message { NORMAL, ENCRYPTED, ANONYMOUS, RESERVATION, KAKAO } 이렇게 사용했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