Notice
Recent Posts
Recent Comments
Link
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Tags
- mapstruct
- db
- Test Doulbe
- 인프콘2023
- 갓생
- OS
- JPA
- Spring
- 2024회고
- modelmapper
- ExceptionResolver
- 2025 계획
- 테크쇼
- Server
- FCM
- MySQL
- Test
- softeer
- Coputer Science
- 자바
- 소프티어
- 직장인 회고
- Java
- enumSet
- Service 계층 테스트
- Test code
- proxyFactory
- 공룡책
- 일상
- Junit 5
Archives
- Today
- Total
목록Jackson (1)
공부내용공유
![](http://i1.daumcdn.net/thumb/C150x150/?fname=https://blog.kakaocdn.net/dn/cdmgBa/btsC2y0AnWo/sI8uKR3BTKrkWrnMQXvOEk/img.png)
서론 REST API 서버를 만들면 controller의 request DTO를 한 개쯤은 만들게 되고 편한 사용을 위해 여러 어노테이션을 사용하게된다. 지금까지 “RequestBody가 DTO로 맵핑될 때 그냥 대충 기본 생성자랑 리플렉션 사용해서 만들어진다“ 정도로만 알고 있었다.. 코드 리뷰를 받다가 해당 부분 관련해서 질문을 받았는데 대답을 하지 못했고 굉장히 부끄러웠다.. 수치심을 지식으로 바꿔보자. 본론 리뷰를 받았던 코드를 임의의 예시로 구현하였다. @Getter @Builder public class request { private final String name; private final int age; private final List options; } 리뷰어님 : 어 @NoArgsC..
Spring/Spring MVC
2024. 1. 7. 16:59